[신간] 이종구 교수,  『산업혁명의 흐름과 음악의 힘 』 출간

음악의 과거와 미래, 그리고 음악의 힘을 고찰

2023-01-25     손성연 커뮤니케이터
▲ 작곡과 이종구 명예교수

한양대학교 작곡과 이종구 명예교수가 『산업혁명의 흐름과 음악의 힘』을 출간했다. 이 책은 1차 산업혁명 이후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국악, 클래식, 대중음악 등 음악의 전 분야를 다루며 음악의 과거와 미래, 그리고 음악의 힘을 고찰한다.

저자인 이 교수는 “이 책은 음악의 다양성과 변천 과정을 산업혁명에 맞춰서 쓴 것이다”라고 밝히며, 20세기 말부터 21세기 초까지 급박하게 펼쳐졌던 음악의 변천사를 4차 산업혁명과 연계하여 정리했다. 특히 이 책은 서양의 산업혁명과 당시 주류 음악사를 연계했기 때문에 자칫 그 중심의 논점에서 우리의 전통음악인 국악을 빠뜨릴 수도 있었으나, 국악 발전사의 흐름과 오늘날 한국음악 예술 부흥의 흐름까지 매우 상세하게 다루고 있다는 점이 돋보인다.

목차는 1 <제1차 산업혁명과 베르디의 오페라>, 2 <바그너주의>, 3 <후기 낭만파의 진보적 작곡가들>, 4 <음유시인과 이탈리아의 칸초네>, 5 <제1차 산업혁명 시기의 조선 음악>, 6 <제2차 산업혁명과 변화한 음악환경>, 7 <인상주의(Impressionism)>, 8 <표현주의(Expressionism)>, 9 <민족음악과 국민주의 음악>, 10 <표현주의 이후 순수음악>, 11 <신고전주의(Neo-classicism)>, 12 <아방가르드의 다양한 실험음악>, 13 <재즈와 미국 대중음악>, 14 <기계문명으로 꽃 핀 뮤지컬>, 15 <미국 대중음악의 다양성>, 16 <미국으로 몰려드는 세계의 음악>, 17 <한국의 청년문화와 대중음악>, 18 전자음악과 대중음악의 변화>, 19 <판을 새롭게 짠 국악>, 20 <제3차 산업혁명과 포스트모더니즘 음악>, 21 <세상을 지배하는 대중음악>, 22 <한국의 대중음악>, 23 <국악, 날개를 달다>, 24 <제4차 산업시대와 음악의 힘>, 25 <K-pop, 세계를 달리다>, 26 <음악의 미래>로 구성되어 있다. ‘제1차 산업혁명과 베르디 오페라’부터 ‘음악의 미래’까지 장구하게 관통하는 음악과 세계에 관한 저자의 통찰이 돋보이는 이 책은 세계적으로 관심이 높아져 있는 한류 문화 예술에 대해 깊이 있는 이해를 구하는 이들에게 국경과 관계없이 일독할 만하다.

▲『산업혁명의 흐름과 음악의 힘』, 지은이: 이종구, 2023, 한양대학교 출판부

한편, 저자인 이 교수는 1948년 충남 당진에서 태어났고, 서울대학교와 독일 국립 카를스루에 음악대학 작곡과를 졸업했다. 88 서울올림픽 폐회식 음악을 비롯하여 무주동계유니버시아드 폐회식 음악, 예술의전당 개관공연, 전주세계소리축제 개막행사 등 여러 행사의 음악을 작곡하고 음악감독직을 맡았다. 또한 대형 퍼포먼스 <천음야화(千音夜話)>와 <세 개의 사랑 이야기> 등을 작곡했고, 시인 김지하·가수 김민기와 함께 우리나라 최초의 마당극 <아구>를 작곡하고 제작했다.

문학적 방면에도 재능이 뛰어나 여러 가극(오페라)의 대본을 직접 쓰고 작곡도 했다. 이렇게 만든 작품으로는 <돌아온 여인>이 있는데, 이 작품은 우리나라 작품으로는 최초로 유럽에서 공연된 가극이었다. 또한 우즈베키스탄에서 <한울춤>을 공연했고, 스위스에서는 옴니버스 뮤지컬 <3개의 독도 이야기>를 공연했다. 이 밖에도 <미마지>, <하늘에 묻어버린 노래>, <매직 텔레파시>, <사랑을 위한 협주곡> 등의 가극을 썼는데, 그 주제는 모두 우리나라 역사와 전통문화에 기반을 두고 있다. 영화음악에서도 두드러진 활동을 남긴 바 있다. 대표작인 <바보선언(이장호 감독)>과 <화엄경(장선우 감독)>으로 두 차례 대종상 영화음악상을 받았다. 세종문화상을 비롯하여 2회의 대한민국 작곡상 대상(작곡 및 국악 부문)을 받았으며, 그 밖에도 춘사영화상음악상·영화평론가상·채동선음악상 등을 수상했다.

또한 1983년부터 2014년까지 한양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중국·몽고·우즈베키스탄·러시아·태국·일본 등에 동서 악기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위한 현지답사를 열한 차례 수행했다. 이로써 『악기백과(樂器百科)』와 『아무도 말하지 않은 백제 그리고 음악』을 저술했다. 그 밖의 저서로는 창작동화 『하늘나라 아리랑』, 『20세기 시대정신과 현대음악』, 『옴니아르스 통합음악이론』, 『20세기 음악 자료집』, 『음악의 형식』 등이 있다. 2014년 정년퇴임과 함께 대한민국 옥조근정훈장을 받았으며, 2022년 현재 사단법인 남북문화예술원의 원장을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