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윤희 교수, 한국이러닝협회 창립 20주년 컨퍼런스에서 발표
교육공학과 송지훈 교수 연구팀(공동연구원 이윤수·신윤희 교수)의 '기업교육 수요자 요구분석과 프로그램 개발 전략’
한양대학교 교육공학과 송지훈 교수 연구팀(공동연구원 이윤수·신윤희 교수)이 ‘2023 원격훈련 활성화를 위한 컨퍼런스’에 참여했다.
한국이러닝협회는 지난 27일 서울시 구로구에 위치한 포포인츠 바이 쉐라톤 서울 구로에서 창립 20주년을 맞아 ‘2023 원격훈련 활성화를 위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4년 만에 대면으로 실시된 이번 콘퍼런스는 이러닝의 트렌드와 사업주원격훈련의 발전 방향을 조망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됐다. 이번 콘퍼런스는 고용노동부와 유관기관, 훈련기관 관계자 12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에서 한양대학교 송지훈 교수 연구팀(공동연구원 이윤수·신윤희 교수)은 6개월간 연구한 ‘기업교육 수요자 요구분석과 프로그램 개발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연구 결과 11개의 사업주 훈련 개선 방안과 8개의 활성화 전략이 도출됐다.
발표자로 나선 신윤희 교수는 “11가지 사업주훈련 개선방안에 대해 우선순위를 선정한 결과 ‘내용 중심의 질적 심사 강화’, ‘사업주훈련 참여 유인 및 지원’, ‘훈련비 환급 기준 완화’, ‘심사 기준과 절차의 간소화 및 경직성 해소’ 등이 우선 해결해야 할 부분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즉 교육 콘텐츠의 고도화와 활성화를 위해서는 사업주훈련 제도 개선과 확산이 선결과제로 지목됐다.
또 8가지 활성화 전략으로는 △대안적 평가 방안 도입 및 내용 중심 질적 심사 △자부담 비율 최소화 및 훈련비 환급 기준 조정 △업종 및 교육과정별 심사 절차 및 기준의 유연화 △교육 트렌드 이해를 위한 저널 인사이트 제공 △저수요·심화 프로그램 대상 교육과정 융합 및 연계 운영 △개발기관 간 내용 전문가 풀 공유 및 사업 부처의 체계적 관리 △훈련 운영 및 개발기관 대상 성과 공유회 정기 운영 △업종 특성을 반영한 교육 과정별 교육 매체 다양화 등이 꼽혔다.
신 교수는 “재직자 직업훈련의 불균형 해소와 제도 확산을 위해서는 사업주 훈련 특성을 잘 반영하면서 요즘 교육 트렌드에 맞게 교육자 맞춤형 콘텐츠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