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대 2025년 10월 5주차 우수논문

2025-11-06     정연우 커뮤니케이터

총 14명의 교수가 산학협력단이 선정한 2025년 10월 5주차 우수논문 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이번에 선정된 교수는 고준호 도시대학원 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교수, 김경학 화학공학과 교수, 김도환 화학공학과, 김선정 바이오메디컬공학전공, 김학성 기계공학부 교수, 노태우 국제학부 교수, 박희준 유가나노공학과 교수, 신영전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신학승 관광학부 교수, 이훈 관광학부 교수, 최창순 바이오메디컬공학전공 교수, 한상욱 건설환경공학과 교수, 한태희 유기나노공학과 교수, 홍진표 물리학과 교수다. (교수명 가나다순)

 

고준호 도시대학원 교수

고준호 도시대학원 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교수 - Comparing idle times of public bicycles in Beijing's free-floating and Seoul's dock-based systems (베이징 무고정형·서울 고정형 공유자전거 유휴시간 비교 연구)

고준호 교수의 논문이 SSCI급 국제 학술지 『CITIES』(2024년 기준 IF 6.6)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베이징 무고정형(shared free-floating) 공유자전거 174만 건, 서울 거치대 기반 공유자전거 7만 건 등 총 181만여 건의 이용 데이터를 비교 분석했다. 연구 결과, 서울의 거치형 시스템은 거치대 위치 특성이 유휴시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베이징의 무고정형 시스템은 보행환경·도로 인프라 등 도시 공간 요인이 더 강하게 작용함이 확인됐다. 해당 연구는 공유자전거 운영 방식에 따라 정책·인프라 설계 기준이 달라져야 함을 실증적으로 제시했다.

 

(좌측부터) 김경학 화학공학과·박희준 유기나노공학과 교수

김경학 화학공학과·박희준 유기나노공학과 교수 – Non-volatile methylammonium chloride substitution for tin halide perovskite transistors (무휘발성 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치환을 통한 주석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트랜지스터 연구)

김경학·박희준 교수의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Nature Electronics』(2024년 기준 IF 40.9)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주석 기반 페로브스카이트 박막 트랜지스터 제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결정 구조 불안정성과 결함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MACl) 치환 방식을 적용했다. 실험 결과, MACl이 결정 구조 내부에 고정되며 결정성 및 입자 크기 분포가 개선됐고, 제작된 박막 트랜지스터는 정공 이동도 80 cm²/V·s 수준, 온·오프 비율 3.0×10⁹, 임계전압 안정성 확보 등의 특성을 보였다. 연구팀은 MACl 치환이 주석 기반 페로브스카이트 트랜지스터의 안정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

 

김도환 화학공학과 교수

김도환 화학공학과 교수 – A reconfigurable piezo-ionotropic polymer membrane for sustainable multi-resonance acoustic sensing (재구성 가능한 이온성 고분자 멤브레인을 활용한 지속형 다중 공명 음향 센싱 연구)

김도환 교수가 참여한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Nature Communications』(2024년 기준 IF 15.7)에 게재됐다. 본 연구에서 연구팀은 사람의 청각 기관(달팽이관)처럼 다양한 주파수의 소리를 구분할 수 있는 고분자 기반 음향 센서를 개발했다. 해당 센서는 20Hz부터 3300Hz까지의 소리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도(530 kPa⁻¹)가 높고 손상 시 스스로 복구되는 특성을 갖는다. 물에서도 성능이 유지돼 일상 환경에서 소리를 구분하는 실험에서도 사람 목소리와 피아노 음 등을 식별했다. 연구팀은 이 소재가 향후 인공 청각 보조 장치 등 바이오 음향 기술에 활용될 수 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좌측부터) 김선정·최창순 바이오메디컬공학전공 교수

김선정·최창순 바이오메디컬공학전공 교수 – Asymmetric Mechano-Electrochemical Energy Harvesting System with Surface Charge-Modified Carbon Nanotube Yarn (표면 전하 조절 탄소나노튜브 실 기반 비대칭 기계-전기 에너지 수확 시스템 연구)

김선정·최창순 교수가 참여한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Small』(2024년 기준 IF 12.1)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탄소나노튜브(CNT) 실을 활용해 신체 움직임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웨어러블 에너지 하베스터'를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두 전극을 비대칭 구조로 설계해 전압 상쇄 문제를 줄이고, 기존 대비 높은 출력(약 294.4 mV)을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또 직조 가능한 실 형태이기 때문에 섬유·의류 형태로 제작해 착용형 전원장치에 활용될 가능성을 보여줬다.

 

김학성 기계공학부 교수

김학성 기계공학부 교수 – Repeated impact behavior of multifunctional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omposites sandwich structures with 3D printed novel rail interlocking core (3D 프린팅 레일 결합 구조를 적용한 다기능 탄소섬유 복합 샌드위치 구조 충격 거동 연구)

김학성 교수의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COMPOSITES PART A: APPLIED SCIENCE AND MANUFACTURING』(2024년 기준 IF 8.9)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배터리 보호 기능과 구조적 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탄소섬유 복합 샌드위치 구조를 설계했다. 특히 3D 프린팅 기반 레일 결합 방식을 적용해 조립 안정성과 충격 저항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실험 결과, 레일 방식 구조는 반복 충격 후에도 기계적 성능과 배터리 용량을 안정적으로 유지해, 기존 접착제·볼트 방식 대비 성능 저하가 적은 것으로 확인됐다.

 

노태우 국제학부 교수

노태우 국제학부 교수 - Unpacking the Role of Digital Dynamic Capabilities in ESG Performance: A Social Exchange Perspective on Organizational Trust and Identification (디지털 역동역량이 ESG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

노태우 교수의 논문이 SSCI급 국제 학술지 『Business Strategy and the Environment』(2024년 기준 IF 13.3)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기업의 디지털 전환 역량이 ESG 성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조직 신뢰와 조직 동일시가 어떤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했다. 257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 데이터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조직 신뢰와 동일시는 디지털 역동역량을 강화하는 선행 요인으로 작용하며, 이를 통해 ESG 성과가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조직 동일시는 디지털 역량을 거치지 않고도 ESG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돼, 기업 내 관계 자본의 독립적 효과도 제시했다.

 

박희준 유기나노공학과 교수

박희준 유기나노공학과 교수 - Overcoming strain-induced vertical inhomogeneity in perovskite films for all-perovskite tandem solar cells (응력 유발 수직 불균일성을 개선한 전(全) 페로브스카이트 탠덤 태양전지 연구)

박희준 교수의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InfoMat』(2024년 기준 IF 22.3)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박막이 제작 과정에서 위·아래 층의 구조가 달라지는 문제에 주목해, 계면 안정화를 위한 분자 설계 기법을 적용했다. 그 결과 단일 셀의 전력 변환 효율(PCE)이 최대 22.4%까지 향상됐으며, 탠덤 구조에서도 500시간 이상 성능이 유지되는 내구성을 확보했다. 연구팀은 이번 결과가 고효율·저비용 태양전지 상용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신영전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교수

신영전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교수 – Identifying Strengths and Weaknesses in Health Literacy among Medical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의대생 건강 문해력의 강점·취약점 체계적 분석 연구)

신영전 교수의 논문이 SSCI급 국제 학술지 『BMC Medical Education』(2024년 기준 IF 3.2)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2013~2024년 사이 발표된 의대생 대상 건강 문해력(health literacy) 관련 논문 13편을 체계적 문헌고찰 방식으로 분석해, 의대생들이 보이는 정보 탐색·이해·평가 능력의 수준과 한계를 정리했다. 분석 결과, 의대생들은 의료 정보를 찾고 이해하는 능력은 비교적 높았으나, 정보를 비판적으로 평가·활용하는 단계에서는 한계가 나타났다. 연구팀은 건강 문해력 교육에 비판적 사고·소통 역량을 강화하는 교육 설계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좌측부터) 신학승·이훈 관광학부 교수

신학승·이훈 관광학부 교수 - Longitudinal analysis of happiness changes in nature-based travel (자연기반 관광에서의 행복 변화 종단 분석 연구)

신학승·이훈 관광학부 교수가 참여한 논문이 SSCI급 국제 학술지 『ANNALS OF TOURISM RESEARCH』(2024년 기준 IF 7.8)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자연기반 관광(nature-based travel) 과정에서 여행자의 행복감이 시간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심박 변이(heart rate variability) 측정을 결합한 종단 연구를 수행했다. 그 결과, 여행 전·중·후 단계별로 정서적·생리적 행복 수준이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여행 과정 자체가 행복감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는 요인임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여행 경험-행복’ 관계를 단일 시점이 아닌 시간 축에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고 밝혔다.

 

한상욱 건설환경공학과 교수

한상욱 건설환경공학과 교수 – Influence of data source and volume on CNN applications in construction (건설 분야 CNN 활용에서 데이터 출처·규모 영향 분석 연구)

한상욱 교수가 참여한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Automation in Construction』(2024년 기준 IF 11.5)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건설 분야에서 활용되는 합성신경망(CNN) 연구 162편을 분석해, 데이터의 출처(단일·다중)와 규모(샘플 수)가 모델 성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했다. 분석 결과, 단일 데이터 소스 기반 연구가 다중 소스보다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사례가 많았으며, 학습 데이터 양이 많을수록 성능이 완만하게 향상되는 경향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공개 데이터 확대와 다양한 검증용 데이터 구성의 필요성을 제언했다.

 

한태희 유기나노공학과 교수

한태희 유기나노공학과 교수 – Reactive diluent-induced trade-offs: unraveling the interplay between resin flow and volatility for multilayer GFRP (반응형 희석제가 수지 흐름·휘발성에 미치는 상관 영향 분석 연구)

한태희 교수가 참여한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COMPOSITES PART A: APPLIED SCIENCE AND MANUFACTURING』(2024년 기준 IF 8.9)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유리섬유강화복합재(GFRP) 제작 과정에서 반응형 희석제 함량이 수지 점도·기계적 성능·기공 형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소량(약 20wt%) 첨가 시 점도 감소와 충격 강도 향상이 나타났지만, 과도한 첨가(40~60wt%)는 휘발성 증가로 내부 결함이 늘어나 성능이 저하되는 경향이 관찰됐다. 연구팀은 희석제 비율 조절이 고성능 GFRP 제조의 핵심 변수임을 제시했다.

 

홍진표 물리학과 교수

홍진표 물리학과 교수 - Trifluoroacetic Acid-Driven (002) Facet Engineering of Zn Metal Powder Anodes for High-Performance Aqueous Zinc-Ion Batteries (고성능 수계 아연이온전지를 위한 아연 금속 분말 전극 (002) 면 제어 연구)

홍진표 교수가 참여한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Advanced Energy Materials』(2024년 기준 IF 26.0)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아연 분말 전극 표면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FA) 처리를 적용해 결정 성장 방향을 제어하고, 전극 표면의 안정성을 높이는 공정을 보고했다. 처리된 전극은 1000회 이상의 충·방전 후에도 용량 유지율이 약 79.8% 수준으로 유지됐으며, 과전류 환경에서도 균일한 아연 석출이 관찰됐다. 연구팀은 해당 공정이 수계 아연이온전지의 고수명·고안정성 구현에 기여할 수 있다고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