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 관문 억제제와 병용 투여로 암 치료 효과 높이는 새로운 면역원성 세포사멸 유도체 개발

윤채옥 생명공학과 교수가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김유천 교수와 공동으로 암 치료에 이용되는 면역항암제인 면역관문억제제와 협력 효과를 내는 펩타이드 기반의 면역원성 세포사멸 유도체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펩타이드는 암세포 내의 미토콘드리아 외막을 붕괴시켜 활성산소 농도를 높이고, 이를 통해 형성된 산화적 스트레스가 소포체를 자극해 면역원성 세포사멸을 유도한다.

▲ 4월 7일자 ADVANCED SCIENCE지 표지
▲ 4월 7일자 ADVANCED SCIENCE지 표지

면역관문억제제는 T세포(CTLA-4, PD-1)나 암세포(PD-L1)에 발현된 면역세포의 활성을 저해하는 면역관문을 차단해서 면역세포의 작용을 활발하게 하는 치료제다. 2011년 미국 식품 의약국에 최초로 승인을 받은 후, 다양한 면역관문억제제가 환자들에게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면역관문억제제의 한계점도 존재한다. 먼저 이 치료법은 모든 환자가 아닌 10~40% 정도의 환자에게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기존에 존재하는 항암 능력을 갖춘 T세포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연구팀은 이에 따라 연구팀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항암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면역원성 세포사멸 유도체와 면역관문억제제를 병용투여 해 문제점을 해결하려 했다고 전했다. 연구팀은 펩타이드 기반의 면역원성 세포사멸 유도체가 미토콘드리아 외막 붕괴를 통해 세포 내의 활성산소를 과잉생산하고, 이렇게 생성된 산화적 스트레스가 소포체를 자극해 최종적으로 면역원성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을 검증했다.

▲ 동물실험을 통한 종양억제능력 비교 및 폐로 전이된 종양 결절수 비교 
▲ 동물실험을 통한 종양억제능력 비교 및 폐로 전이된 종양 결절수 비교 

또한 동물실험을 통해 펩타이드와 면역관문억제제인 anti-PD-L1을 병용 투여했을 때, 단독 투여에 비해 종양 억제 능력이 향상되고, 활성화된 면역반응을 통해 폐로의 전이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 지난 7일자 표지논문(Back cover)으로 게재됐다. 논문명은 'Immunogenic Cell Death Inducing Fluorinated Mitochondria-Disrupting Helical Polypeptide Synergizes with PD-L1 Immune Checkpoint Blockade'로, 한양대 정보경 생명공학과 박사와 KAIST 정성동 생명화학공학과 박사가 공동 제1 저자로 참여하고, 윤 교수가 공동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사업과 기초연구실 사업을 통해 수행됐다.

키워드

'한양위키' 키워드 보기 #윤채옥 #생명공학과 #SDG3
저작권자 © 뉴스H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