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제적으로 미래 반도체 기술력 확보해 세계 패권 전쟁에서 승기 잡아야

▲ 한양대학교 융합전자공학부 박재근 교수
▲ 한양대학교 융합전자공학부 박재근 교수

한양대학교 융합전자공학부 박재근 교수가 지난 21일 전자신문이 서울 그랜드인터콘티넨탈 파르나스 호텔에서 주최한 ‘ET테크리더스포럼’에서 반도체 기술력 확보의 중요성을 주제로 발표했다.

박 교수는 선제적으로 미래 반도체 기술력을 확보, 세계 패권 전쟁에서 승기를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메모리 분야에서 초격차를 유지하고 대한민국이 취약한 시스템 반도체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다.

박 회장은 “특히 중국의 추격이 무서울 정도로 빠르다”면서 “미국이 중국 반도체 산업 성장을 견제하고 있지만 기술 개발 속도는 매우 위협적”이라고 밝혔다.

박 회장은 반도체 업계가 주목해야 할 분야로 데이터센터와 차량용 반도체 시장을 제시했다. 기존 주력 시장이었던 모바일(스마트폰)과 PC 시장 성장이 둔화하는 반면, 고성능 반도체를 요구하는 서버 등 데이터센터 시장은 급성장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 시장에 대응하려면 연구개발(R&D) 초점을 초고성능 중앙처리장치(CPU)와 메모리 반도체에 집중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그는 “2030년이 되면 신차 절반이 전기차가 차지하게 된다”라며 “반도체 적용 범위도 확대돼 반도체 시장의 또 다른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밝혔다. 차량용 반도체는 모바일보다 탑재 수도 늘어나고 단가도 높아 고부가가치 시장으로 거듭날 것이란 의미다.

미래 반도체 시장을 주도하기 위한 당면 과제도 만만치 않다. 무어의 법칙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지적될 만큼 반도체 미세화 한계에 직면했기 때문이다. 박 교수는 “반도체 업계에서는 미세화(스케일링 다운)가 지상 과제인데 메모리 미세화는 (전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커패시터 용량의 물리적 한계로 더디게 진행 중”이라며 “기존과 다른 소재와 구조로 D램 한계를 극복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회장은 3차원(3D) 구조 D램과 셀을 제어하는 페리페럴을 하부에 배치하는 DOSRAM, 새로운 물질로 커패시터 성능을 높인 FeRAM 등을 D램 한계를 극복할 기술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키워드

'한양위키' 키워드 보기 #융합전자공학부 #박재근 #SDG9
저작권자 © 뉴스H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