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보다 16계단 상승... 국내 대학들 ‘학계 평판도’ 높아
8일 QS가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 세계대학 순위에서 한양대는 2010년 354위 이후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 대학 중 가장 높은 순위는 서울대(36위)였으며 이어 △카이스트(41위) △포스텍(71위) △고려대(90위) △연세대(106위) △성균관대(108위) △한양대(155위) △경희대(256위) △이화여대(299위) △지스트(339위) △한국외대 397위 등 국내 대학 11곳이 세계 톱 400위 안에 들었다.

전체 1위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가 작년에 이어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스탠퍼드대(2위), 하버드대(3위), 캘리포니아공대(Caltech·4위), 케임브리지대(5위)가 톱 5를 기록했다.
올해 QS 세계 대학 평가는 전 세계 4854개 대학을 대상으로 연구·교육·졸업생·국제화 등 4개 분야를 6개 지표로 평가해 순위를 매겼다. 6개 평가 지표는 △학계평가(40%)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수(20%) △교수 1인당 학생 수(20%) △졸업생 평판도(10%) △외국인 학생비율(5%) △외국인 교수비율(5%) 등이다.
조선일보 6월 8일 자 기사에 따르면, QS 측은 “이번 평가에서 한국 대학들은 ‘학계·졸업생 평판도’는 높은 반면 대학 연구의 질을 가늠하는 ‘논문당 피(被)인용 수’와 ‘외국인 교수·학생 비율’은 여전히 낮게 기록됐다”고 분석했다고 전했다. 이는 한국의 더 많은 교수가 영어로 논문을 내야 인용 건수가 늘고, 한국 대학의 연구 영향력도 세계적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 출처: QS 공식 홈페이지 https://www.topuniversities.com/university-rankings/world-university-rankings/2018
디지털뉴스팀
hanyang_news@naver.com

'한양위키' 키워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