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온에서도 제조 가능, 내구성 탁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 적합
![]() | ||
| ▲ 한양대학교 나노융합과학과 성명모 교수 | ||
지난 30일, 한양대학교 나노융합과학과 성명모 교수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플라스틱 기판의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플라스틱 기판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한 최적의 소재로 평가받아 왔지만, 산소와 수분 등 외부 환경의 노출에 취약한 단점이 지적돼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고품질의 ‘배리어막’ 연구가 국내외에서 한창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성능이 뛰어나면서도 더욱 쉽게 배리어막을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이 등장했다.
성명모 교수는 '유무기 혼성 박막 제조' 기술로 새로운 전구체 물질을 사용해 얇으면서도 산소·수분의 투과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해 화학적 결합으로 형성되는 각각의 유기분자층과 무기분자층을 '분자층 적층법'에 의해 증착될 수 있다.
이번에 성 교수가 개발한 분자층 적층 기술은 저온에서도 제조 가능하고, 봉지막 제조 공정 중 핀홀 생성이 억제되는 점을 장점으로 꼽는다. 또한 내구성이 탁월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기판 배리어막으로 사용하기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성 교수는 "현재 이 기술에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는 글로벌 소재 업체와 기술 이전 계약을 협의 중이며, 향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범용화를 앞당기는 데 크게 일조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HYUnews
back2basic@hanyang.ac.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