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동계올림픽 개막공연에 참여한 유천예(무용학과 3), 진천소(무용학과 석사과정)
얼마 전 인터뷰에 응한 조영재 동문 말고도 평창동계올림픽에서 무대를 빛낸 한양인이 있다. 우리대학 무용학과 학생들이 한국의 도깨비로서 ‘타오르는 소망의 불꽃’을 표현했다. 유천예(刘天艺, LIUTIANYI, 무용학과 3), 진천소(陈天笑, CHENTIANXIAO, 무용학과 석사과정) 씨가 그 주인공, 개막 공연에 참여한 다섯 명의 외국인 중 둘이다.
성화의 불꽃이 타오를 때
개막식 중 평창홍보대사 김연아의 성화가 점화되자 12명의 도깨비가 등장했다. 한바탕 난장을 이뤄지는 동안 강원도 곳곳 23명의 도깨비가 모였다. 도깨비로 분한 건 우리대학 무용학과 학생 23명. 그 중 두 명의 중국인 유천예, 진천소 씨가 당당히 무대에 올랐다. “지난해 9월, 지도교수이신 손관중 교수님이 저희를 선발했어요. 전 세계인이 주목하는 좋은 기회이니 놓치지 말라고 하셨죠. 정말 감사했습니다.”

중국 양저우(揚州) 출신인 진천소 씨는 지난 2008년 열린 베이징 하계올림픽 때도 공연무대에 올랐다. “올림픽 성화 주자가 동네로 와서 당시 중학교 3학년이었던 저는 축하 공연에서 춤을 췄어요. 그렇기에 한국을 대표해 이번 올림픽을 준비하는 일은 더 특별한 경험이었습니다.” 평창올림픽 개막식을 위해 진 씨는 일주일에 세 번씩 평균 다섯 시간의 연습량을 소화했다. “개막식 연습 중 5살 꼬마가 연습하는 모습을 봤어요. 열심히 하는 모습에 자극을 받아 저도 힘낼 수 있었죠. 또한, 세심한 부분까지 놓치지 않는 한국인의 모습이 인상 깊었어요. 리허설마다 완벽하게 해내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평창동계올림픽 개막 공연영상 확인하기)
춤과 한국을 사랑하다.
유천예 씨는 어머니의 권유로 무용을 시작했다. 9살 때 유 씨는 중국 전통 무용을 시작했다. “사실 무용을 시작하게 된 이유가 조금 웃긴데, 제가 목이 아주 짧았어요. 목이 늘어날 수 있을까 하는 기대감에 무용을 시작했는데 다행히 적성에 맞았죠.” 올해로 무용 14년 차 유 씨는 14살 때 한국문화에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전 중국 청도(靑島) 출신인데, 고향에 한국 사람이 아주 많아요. 자연스럽게 한국어를 접했습니다. 10년 동안 중국전통무용을 배운 뒤 우연히 한국현대무용을 접했는데, 너무 배우고 싶었어요.”

유 씨는 춤을 창작할 수 있는 한국현대무용에 큰 매력을 느꼈고 한국 유학을 결심했다. “한국에 온 지 4년이 돼가는데 이제는 중국이 조금 낯설어요. 한국현대무용이 너무 즐거워 수업을 한 번도 빠진 적도 없죠.” 한국을 사랑하는 유 씨는 한국어에도 큰 매력을 느꼈고, 통역사의 꿈을 꾸게 됐다. “안무도 재밌지만 한국어가 좋아요. 한국어 자격증은 딴 상태이고, 대학원에 진학할 예정입니다.”
진천소 씨는 지난해 3월부터 한국에서 한국현대무용을 전공하고 있다. 어렸을 때부터 춤을 좋아했던 진 씨는 난징예술대학 (京藝術學院)에서 무용을 전공한 후, 무용 교사와 전문 무용수로 활약하며 경험을 쌓았다. “지난 2015년 국제무용콩쿨에 참석하기 위해 서울에 왔다가 한국 유학을 결심했어요. 한국무용은 서양 무용과 비슷한 점이 좋았고, 좋은 환경에서 춤을 추고 싶었습니다.”

춤은 최고의 언어
진천소 씨에게 무용은 ‘최고의 언어’다. 말을 하지 않은 채로, 몸으로 소통을 하는 무용은 진 씨에게 가장 큰 매력이다. 유천예 씨 또한 춤은 “예술과 영혼의 만남”이라며 “춤을 출 때는 감정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고, 그렇기에 감정을 관리하는 것도 춤의 중요한 영역이다.”고 했다.

이들에 관한 더 많은 소식은 다음 SNS계정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유천예 씨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진천소 씨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글/ 정민주 기자 audentia1003@hanyang.ac.kr
사진/ 이진명 기자 rha925@hanyang.ac.kr

'한양위키' 키워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