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일류 대학 병원 위한 힘찬 날개짓

 국내 최초로 DVTS 통한 쌍방향 원격 진료 선보여

 별도 장비 필요없는 완벽한 쌍방향 원격진료로 관심 끌어

 

 최근 IT를 이용한 첨단의료의 한 부분으로 자리를 잡고 있는 ‘원격 진료’는 병원과 병원, 사이에서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나라 간에 이루어지는 현상이 빠르게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국내 원격 진료의 메카로 불리는 본교 병원이 있었다.

 

   
 

 지난 13일, 본교 병원 비뇨기과는 국내 최초로 ‘복강경을 이용한 부분 신장절제술’을 인터넷망을 이용, 실시간으로 일본과 원격진료를 실시했다. 이번 원격진료는 대한비뇨기과학회와 일본비뇨기과학회 후원으로 콩팥에 있는 암을 제거하기 위한 ‘복강경 부분 신장절제술’ 시행을 인공위성이 아닌 인터넷망을 이용해 일본 후쿠오카에서 열리고 있는 일본비뇨기과학회 학술대회장으로 실시간 중계됐다.

 

 이번 원격 진료를 이끈 본교 병원 비뇨기과 이춘용 교수는 “원격 진료는 멀리 떨어져있는 환자를 진단하고 처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말한 뒤, “세계적으로 유명한 전문가의 시술을 실제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쌍방향 의견교환을 통해 실질적인 의료 정보 공유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원격진료는 그간 국내에서도 외국대학병원과의 라이브시술 등이 간혹 시행돼 왔으나 반드시 중계차를 동원해야만 가능했기 때문에 번거로운 점이 많았다. 또 수술 중 화상의 끊김이 잦고 화질이 선명하지 않아 환자 상태를 모니터로 보고 파악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었다. 하지만 한양대학교병원의 원격진료는 기존의 원격진료와 달리 대용량 초고속통신망과 첨단 디지털 비디오 전송시스템(DVTS)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중계차나 방송장비가 필요 없고 고화질TV 수준의 화질을 담아 간편하고 완벽한 쌍방향 원격진료를 선보인다는 점에서 의료계에서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지금까지 본교 병원과 일본 사이의 원격 진료는 지난 2003년 10월 8일 소화기내과 함준수 교수팀과 일본의 규수대학교병원 수지 시미즈 교수팀의 담낭담석증 수술을 시작으로, 이후 비뇨기과 이춘용 교수팀의 전립선 수술 및 신경외과 뇌수술 등이 진행된 바 있으며, 2004년에는 내시경 점막절제술과 대장조기암 절제술 등으로 분야가 확대되었다. 또한, 2005년에는 일본과 하와이를 잇는 원격 회의를 비롯해 소장내시경 수술, 신장이식 수술 등이 진행되어 왔다. 신경외과 김영수 교수가 소장으로 있는 ‘차세대 지능형 수술시스템 개발센터’와 일본 사이의 원격로봇수술(돼지담낭절제술)도 지난해 아시아 최초로 진행됐다.

 

박슬기 학생기자 tmfrl13@ihanyang.ac.kr
 

저작권자 © 뉴스H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