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려하는 삶 배운다
‘심리학의 이해’는 매학기 꾸준히 200여명 이상의 정원을 유지하는 과목이다. 강의는 요일과 시간대에 따라 4개가 있고 각각 수업 방식도 조금씩 다르다. 하지만 수업의 큰 틀은 심리학을 통해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다. 김정문(사범대·교육) 교수는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심리학을 가르치려고 노력한다”며 “학생들이 이 수업을 통해 자기 자신을 성찰해보고 인생을 계획하는데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고 수업에 대해 말했다. 박은진(사회대·신방 4) 양은 “어려운 부분도 있긴 했지만 전체적으로 재미있는 강의로 기억한다”고 수업 후기를 밝혔다. 또 박 양은 “수업 시간에 정신 분석이나 심리 치료와 같이 자신을 성찰하는 방법을 배웠다.”며 “학기가 끝나고 나서도 진로나 적성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고 말했다.‘정신 위생’은 정신 건강의 중요성을 알고 삶의 질을 높이고자 개설된 사범대 주관 교양 수업이다. 이승희(사범대·교육) 교수는 “수업을 듣는 학생들에게 정신적으로 행복하고 풍요롭게 살아갈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목표다”라고 설명했다. 또 “대부분의 학생들이 인간관계, 성격 장애 등에서 오는 스트레스에 대한 자세한 대처 방법은 모르는 경우가 많다”며 “이런 문제들에 대해 심리학적인 방향에서 해결방안을 제시한다”고 말했다. 똑같이 심리학을 다루긴 하지만 정신적 고통에 대해 좀 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해답을 찾으며 자기 자신을 알아가는 점이 ‘심리학의 이해’와 차별된다.
‘결혼 적응 교육’은 성숙한 부모가 되고 행복한 미래의 가정을 만들 수 있도록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개설된 과목이다. 수업 시간에 결혼과 가정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 타인을 이해하는 방법을 공부한다. 또 마이어브릭스 유형지표(MBTI) 검사를 통해 자신의 성격을 알아보고 배우자상도 찾아보는 과정이 포함돼 있다. 강순환(사회대·관광 3) 군은 “소소한 과제가 많은 편이었지만 심리 검사 같이 흥미로운 내용들이었기 때문에 별 부담 없이 할 수 있었다”며 “과제가 수업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또 강 군은 “중간고사 기간 이후에 진행된 조별 토론식 수업에서는 조원들끼리 다양한 대화를 나누며 대인 관계와 결혼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좋았다”고 수업 후기를 밝혔다.
책을 읽으며 문학을 배우는 ‘문학과 사랑’도 학생들 사이에서 평가가 좋다. 수업은 매주 소설을 한 권씩 선정해 읽고 내용에 대해 발표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중간고사 후에는 소설을 분석한 것을 조별로 발표하고 토론한다. 이동혁(사회대·신방 4) 군은 “평소에는 전공 서적이나 자기 계발서를 주로 읽는데 이 수업에서 문학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았다”며 “한번쯤 문학에 빠져보고 싶은 후배들에게 추천한다”고 말했다.
김선민 학생기자 salamander@hanyang.ac.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