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 한양대
  • 한양위키
  • HY-in
  • 최종편집 : 2025-11-26 13:17 (수)
  • English
  • 中文
  • 제보
  • 뉴스레터
  • 뉴스룸

뉴스H

  • 한양뉴스
    • 일반
    • 행사
    • 학생
    • 교수
    • 학술
    • 정책·시설
    • 기부
    • 성과
    • 입학
    • 동문
    • 의료원
  • 기획
    • 기획
    • 그래픽
    • 영상
    • 리뷰
    • 오피니언
    • 팁&강좌
    • 데이타
  • 인터뷰
    • 학생
    • 동문
    • 교수
    • 직원
  • 브리핑
    • 주간·월간
    • 언론
    • 교원활동
    • 뉴스레터
  • 미디어
    • 소셜미디어
    • 미디어보드
    • 채널H
  • 뉴스+
    • 포토
    • 영상
    • 카드
    • 연재
    • 매체
    • ERICA
  • SDGs

본문영역

뉴스H
[르포] 아픔 딛고 일어서는 수활 현장

SNS 기사보내기

SNS 기사보내기

스크롤 이동 상태바

현재위치

  •  홈
  • 한양뉴스
  • 기부
  • 영상

[르포] 아픔 딛고 일어서는 수활 현장

  • 방미연 학생기자
  • 입력 2002.09.15 00:00
  • 수정 2016.01.18 00:00
  • 댓글 0
  • 영문취재부

SNS 기사보내기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동영상보기]

 

 83명 사망, 43명 실종, 16개소 도로 교통 전면 통제. 2만 2백 99가구 파손·침수, 잠정 피해액 2조 원대. 태풍 `루사'가 한반도를 할퀴고 간 상처는 이처럼 컸다. 특히 '루사'로 인한 최대 피해자인 강원도에는 지금도 전국에서 구호의 손길과 자원봉사가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서울·안산캠퍼스 학생들도 총학생회 주도하에 수재민 돕기 자원봉사 활동(이하 수활)에 나섰다. 이에 위클리 한양은 안산캠퍼스 학생들이 수활 활동을 전개한 강릉 일대를 찾아 그 현장의 목소리를 전한다.(편집자주)

 

   
 

 안산캠퍼스 수활단은 지난 12일부터 15일까지 강원도 대학연합과 함께 자원봉사에 참가, 수해지역 복구와 축대를 쌓는 등 강릉지역의 피해 복구에 작은 힘을 보탰다. 힘든 복구 작업을 통해 물리적인 도움뿐만 아니라 함께 아픔을 나누는 '사랑의 실천'을 몸소 체험하고 온 것이다.

 

 강릉으로 떠나는 25명의 수활 단원들은 첫 발걸음은 그리 가볍지 않았다. 강릉 일원의 피해가 실제로 얼마나 되며, 무슨 일을 할 수 있을지 막연했기 때문이다. 출발한 지 3시간 후, 강릉시에 접어들자 도로 옆의 낙석과 산사태로 무너진 부분이 보였다. 강릉 시내는 2주 동안의 집중적인 복구활동으로 수해를 입었던 흔적을 찾기 힘들었다. 하지만 강릉시 관계자는 "도심 주변부의 경우는 어느 정도 복구가 되었다. 그러나 산사태가 난 지역은 지대가 높고 길이 좁아서 중장비시설이 들어갈 수 없는 탓에 사람의 힘으로 축대를 쌓아야 한다."며 애로점을 설명했다.

 

 강릉실내체육관에 짐을 풀고 동사무소 직원들을 따라간 곳은 뒷산이 무너져 내린 주택가 부근. 몇 십 년 된 밤나무가 통째로 뽑힐 만큼 피해가 큰 곳이었다. 봉사자들은 흙을 퍼다 날랐고 무너진 부분을 다시 쌓아 나갔다. 학생들은 평소에 해보지 않은 힘든 작업으로 크고 작은 상처가 났지만 개의치 않는 모습이다. 텔레비전과 신문에서 수활에 관한 이야기를 듣고 왔다는 하양수(공학대·기계공학4) 군은 "둘째 날, 피해정도가 너무 심해 20여명으로는 역부족인 복구 작업을 하다보니 다친 친구들도 많았다. 하지만 저녁에 돌아와 서로 어깨를 주물러 주면서 더욱 깊은 우정을 쌓게 됐다."고 말했다.

 

   
 

 수활 3일째, 학생들이 향한 곳은 강릉시 유산동의 주택가. 이번 태풍으로 축대가 무너진 이 곳 역시 상황은 별로 좋지 않았다. 축대를 쌓는 작업은 우선 모래를 삽으로 퍼서 포대자루에 넣은 다음 그것을 땅이 무너져 내린 곳에 차곡차곡 쌓아 높이는 것이었다. 5, 6 미터가 넘는 높이를 채우기 위해 진흙으로 엉망이 된 미끄러운 길을 따라 모래주머니를 날라야 하는 힘든 작업이었다. 수해를 입은 주민 김성호(61) 씨는 "집 앞마당이 다 무너져버려 코앞이 낭떠러지가 됐다. 그런데 이렇게 학생들이 와서 축대를 쌓아줘 이루 말할 수 없이 고맙다."며 학생들에게 감사를 전했다. 김효경(국제문화대·일문3) 양은 "수업을 못들은 것은 아쉽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일인 것 같아 참여하게 됐다."며 "허리도 아프고 일도 힘들지만 축대가 쌓이는 것을 보면 마음이 뿌듯해진다."라고 수활에 참여한 감회를 밝혔다.

 

 한편 서울캠퍼스 역시 지난 7일부터 10일까지 전북 무주군으로 수활을 다녀왔다. 97명의 학생이 참가한 이번 수활에서 서울캠퍼스 총학생회장 정해송(공대·화공4) 군은 "비록 몸이 피곤하고 햇볕에 그을리는 등 육체적인 피곤함은 있었지만 진정한 땀의 가치를 느낄 수 있었던 소중한 경험이었다."라며 3박 4일간의 활동을 평가했다. 현재 서울캠퍼스 총학생회측은 1차에 이어 무주군에서의 2차 수활을 예정하고 있으며 더욱 많은 학생들의 참여를 기대하고 있다.

 

방미연 학생기자 bigbang@ihanyang.ac.kr
사진: 이재룡 학생기자 ikikata@ihanyang.ac.kr
동영상 편집: 박수영 학생기자 rawrat@ihanyang.ac.kr
 

방미연 학생기자 bigbang@ihanyang.ac.kr
다른기사 보기
저작권자 © 뉴스H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만 안 본 뉴스
[포토스토리] "AI 시대 해답은 브랜딩", 오세훈 서울시장의 경영학 특강 현장
Into the Creation 2025, 창작자들의 꿈에 날개를
이찬규 학생, 사이버·우주 융합연구로 2025 사이버안보논문공모전 대상 수상
한양대, '2026 QS 지속가능성 순위' 세계 161위, 국내 4위 기록
해커톤에서 인턴십까지, 현대차 사내 스타트업에 다녀오다 [창업지원단 인턴십 경험기]
[포토스토리] 한양 속에 사회혁신을 품다, SSIR 먼슬리 콜로키움 현장
행복은 좋은 경험의 ‘빈도’에서, 서은국 교수와 함께한 한양인의 힐링콘서트 현장
2025 중앙일보 대학평가 서울 3위, ERICA 13위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0 / 400
 
비회원 로그인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회원 로그인
기획기사
[포토스토리] "AI 시대 해답은 브랜딩", 오세훈 서울시장의 경영학 특강 현장
Into the Creation 2025, 창작자들의 꿈에 날개를
해커톤에서 인턴십까지, 현대차 사내 스타트업에 다녀오다 [창업지원단 인턴십 경험기]
[포토스토리] 한양 속에 사회혁신을 품다, SSIR 먼슬리 콜로키움 현장
행복은 좋은 경험의 ‘빈도’에서, 서은국 교수와 함께한 한양인의 힐링콘서트 현장
[카드뉴스] '한양대학교 SDGs? 알고 보니 내 일상 속에 있었다!' 1편
최신뉴스
2025 중앙일보 대학평가 서울 3위, ERICA 13위
국제교육원, 2025학년도 겨울학기 외국인 학생 대상 1:1 한국어 멘토링 멘토 학생 모집
한양대병원 이준철 교수, ‘서울시장표창’ 수상
한양대 이준 박사, MSDC 2025 국제학술대회서 아일릿(ILLIT) 숏폼 기반 팬 전환 메커니즘 규명
한양대, ‘2025 중앙일보 학문분야 대학평가’ 9개 중 8개 최우수 평가
포토뉴스
[포토스토리] "AI 시대 해답은 브랜딩", 오세훈 서울시장의 경영학 특강 현장
[포토스토리] 한양 속에 사회혁신을 품다, SSIR 먼슬리 콜로키움 현장
[포토뉴스] ‘2025 한양행복위크’ 심리지원 캠페인, 따뜻한 발걸음이 모여든 역사관 앞 광장
[포토뉴스] 형형색색 단풍으로 물든 서울캠퍼스
인기 TOP10
1 한양대 연구자 6인, 2025 세계 최상위 0.1% 연구자(HCR)에 선정
2 재직·학업·수험 병행하며 세무사 합격… 산업융합학부 김효정 학우 인터뷰
3 마이크론, 한양대 현장 리크루팅 행사 개최
4 한양대, ‘2025 중앙일보 학문분야 대학평가’ 9개 중 8개 최우수 평가
5 [한양인의 커리어를 묻다] LG전자 HS 사업본부 데이터사이언티스트, 성민 동문을 만나다
6 한양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 혁신 정책의 심장 영국 서섹스대와 ‘글로벌 리더의 미래’를 그리다
7 한국장학재단 2026-1학기 1차 국가장학금 신청 안내
8 한양대 유호천 교수팀,‘플로팅 게이트 기반 광 파장 구분 시냅스 소자’개발... 광학 이미지·차세대 뉴로모픽 분야 응용 기대
9 [카드뉴스] '한양대학교 SDGs? 알고 보니 내 일상 속에 있었다!' 1편
10 분단 80년, 한양대가 직접 보고 듣고 논해본 한반도 통일 문제

하단영역

  • 전체기사
  • 헤드라인
  • 주요기사
  • 한양대는 지금
  • 상세검색
  • 일일뉴스

매체정보

뉴스H
  •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222 한양대학교
  • 대표전화 : 02-2220-0038
  • 신문사명 : 한양대학교 미디어전략실
  • 제호명 : 뉴스H
  • 발행일 : 2000.8
  • 발행인 : 한양대학교 총장 이기정
  • 편집인 : 미디어전략실장 이자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미디어전략실
facebook instagram linkedin youtube blog

하단메뉴

뉴스H 소개 제보/투고 불편신고/문의 약관 및 정책 뉴스룸 RSS 가이드 모바일버전
Copyright © 2025 뉴스H.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

전체메뉴

  • 전체기사
  • 한양뉴스
    • 전체
    • 일반
    • 행사
    • 학생
    • 교수
    • 학술
    • 정책·시설
    • 기부
    • 성과
    • 입학
    • 동문
    • 의료원
  • 기획
    • 전체
    • 기획
    • 그래픽
    • 영상
    • 리뷰
    • 오피니언
    • 팁&강좌
    • 데이타
  • 인터뷰
    • 전체
    • 학생
    • 동문
    • 교수
    • 직원
  • 브리핑
    • 전체
    • 주간·월간
    • 언론
    • 교원활동
    • 리포트
    • 뉴스레터
  • 미디어
    • 전체
    • 소셜미디어
    • 미디어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