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창순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팀과 KAIST 연구팀이 열을 가해 섬유를 뽑아내는 열 인발공정(TDP)와 탄소나노튜브 시트를 병합해 장기간 사용 가능한 다기능성 섬유형 인터페이스를 개발했다.

뇌신경 시스템 탐구를 위한 삽입형 인터페이스는 생체 시스템 면역 반응을 줄이기 위해 생체 친화적인 물질을 사용하면서 다양한 기능을 병합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왔다. 그러나 기존 재료와 방법으로는 다기능을 구현하면서 장기간 사용가능한 디바이스를 만들기 어려웠다.

그러나 이번 연구팀이 탄소나노튜브 시트 전극과 고분자 광섬유를 병합하여 만든 제작 섬유는 우수한 전기, 광학, 기계적 성질을 보였다. 쥐 실험을 통해 제작 섬유가 전기적 신경 활성신호와 화학적신경전달물질을 잘 측정하고 광유전학적 조절을 통해 행동학적 산출을 이끌어낼 수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연구팀은 해당 섬유로 1년 이상 신경 신호를 측정하는 연구를 진행하면서 초장기간 사용 가능성도 입증했다.

이번 연구는 향후 뇌 질환의 세부적 매커니즘 파악과 전뇌적 기록 및 조절 분야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키워드

'한양위키' 키워드 보기 #최창순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저작권자 © 뉴스H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