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 포함 모든 이동통신으로 신고자의 정밀위치파악기술 개발
이동통신사와 협의 이뤄지면 상용화 가능
“인명 구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최우선의 과제”

최근 한 여성이 알뜰폰으로 구조요청을 했으나 경찰이 위치를 파악하지 못해 참변을 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울산에서는 스마트워치를 찬 여성이 긴급 호출을 했지만, 역시 정확한 위치 파악이 어려워 안타깝게 희생됐다. 비슷한 사건이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문희찬 융합전자공학부 교수는 알뜰폰을 포함한 모든 이동통신을 이용해 긴급구조 요청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HELPS)을 개발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문 교수를 만나 이동통신을 통한 긴급구조 현황과 가능성, 해결과제에 대해 들었다.

 

▲ 문희찬 융합전자공학부 교수는 LTE 신호만으로 구조요청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기술(HELPS)을 개발했다. ⓒ 문희찬 교수
▲ 문희찬 융합전자공학부 교수는 LTE 신호만으로 구조요청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기술(HELPS)을 개발했다. ⓒ 문희찬 교수

무선통신이 발달하면서 각종 범죄와 재난 상황에서 휴대폰과 스마트워치 등 이동통신을 이용한 인명 구조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대해 문 교수는 “구조 대상자를 찾는 것은 IT분야의 오래된 숙제다”며 “범죄 상황에서는 자신의 위치를 설명할 수 없기에 이동통신만으로 신고자의 위치를 찾아내야 하는데, 알뜰폰뿐만 아니라 일반 휴대폰 역시 아직 문제가 많다”고 설명했다. 그는 “지금의 기술로는 어느 건물인지까지는 알아낼 수 있지만, 정확히 몇 층 몇 호에 있는지 찾아낼 수가 없다”고 덧붙였다.

경찰의 의뢰를 받아 위치 파악 기술을 연구 중이던 문 교수는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해야 했다. 구조자의 위치를 더 정밀하게 알아내는 것과 알뜰폰 같은 별정통신 사용자의 위치도 찾아내는 것. 문 교수는 작은 발상의 전환을 통해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다고 말했다. “예전에는 구조하는 사람들이 맨손으로 출동했습니다. 그런데 저희는 구조대한테 뭔가를 쥐여 주는 겁니다. 일종의 신호 측정기죠.” 문 교수가 개발한 기술의 원리는 신고한 휴대폰과 연결된 기지국에서 그 휴대폰에 일정한 패턴의 신호를 보내고, 수색자는 자신의 휴대폰에 신호측정기를 부착해 신호 세기가 강한 곳을 찾는 것이다.

 

▲ 문 교수가 개발한 이동통신 신호기반 정밀위치측정기술(HELPS)은 수색자의 휴대폰에 신호를 부착해 구조요청자의 위치를 찾는다. ⓒ 문희찬 교수
▲ 문 교수가 개발한 이동통신 신호기반 정밀위치측정기술(HELPS)은 수색자의 휴대폰에 신호를 부착해 구조요청자의 위치를 찾는다. ⓒ 문희찬 교수

문 교수가 개발한 ‘이동통신 신호기반 정밀위치측정기술(HELPS)은 위치 파악의 부정확성을 해결하고, 와이파이나 GPS(G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시스템) 없이도 범죄 피해자, 신변보호 요청자, 재난 실종자를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는 기술이다. 와이파이나 GPS 신호에 의존하지 않고 이동통신 신호만으로 오차 10m 이내의 수평 위치 및 오차 1.5m 내 수직 위치를 파악할 뿐 아니라 알뜰폰 및 스토킹 피해자에게 지급되는 스마트워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구조자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이지만 이를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사가 협조해야 한다.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소프트웨어를 고치고 이 서비스를 실행한다면 현실에서 많은 인명구조가 가능하다. 문 교수는 이 기술의 기대효과에 대해 “실종이나 재난 재해, 스토킹, 납치 등의 범죄 피해자는 물론 낙상이나 부상을 당한 환자 구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며 “이 기술을 통해 국민의 안전과 생명이 보장되는 안전한 사회를 만들면 좋겠다”는 바람을 드러냈다.

 

▲ HELPS가 상용화되면 실종이나 재난재해, 범죄 피해자는 물론 부상을 당한 환자의 구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문희찬 교수
▲ HELPS가 상용화되면 실종이나 재난재해, 범죄 피해자는 물론 부상을 당한 환자의 구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문희찬 교수

문 교수의 목표는 이 기술(HELPS)을 하루빨리 대국민 서비스로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해 특허도 신청했고 이동통신사와의 협의도 진행 중이다. 국내 상용화 이후에는 해외에도 기술을 전파하고 싶은 바람이다.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관련 법 제정이 필수다. 문 교수는 “미국의 경우 많은 것들이 법으로 정해져 있어 책임소재가 분명하다”며 “구조 요청자의 위치를 찾지 못해 피해를 막지 못하면 미국에서는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책임을 묻는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책임소재가 명확하게 법으로 규정돼 있어야 각 이해당사자가 책임감을 갖고 인명을 구조하는 데 힘을 쏟을 것이다”고 덧붙였다.

문 교수와 그의 연구원들은 정밀한 위치측정을 위해 계속 실험을 진행 중이다. 이를 위해 한양대학교 대운동장은 거대한 실험실이 됐다. 삼성전자에서 기증한 기지국 덕분에 실제와 유사한 상황에서의 실험이 가능해졌다. 문 교수는 휴대폰 정보를 분석하기 위해 서버를  만드는 회사까지 섭외했다. 이와 같이 실제 상황과 유사한 환경을 만들어 오차범위를 최소화하고 정밀하게 위치를 찾아내는 실험을 거듭하고 있는 것이다. 그는 “지금 운동장에서 우리 연구원들이 들고 왔다 갔다 하는 신호측정기가 곧 소방관이나 경찰관들이 드는 기기가 되길 바란다”고 포부를 밝혔다.

 

▲ 문 교수는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한 연구 목표라고 밝혔다. ⓒ 문희찬 교수
▲ 문 교수는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한 연구 목표라고 밝혔다. ⓒ 문희찬 교수

문 교수가 방학까지 반납하면서 실험을 거듭하고 있는 이 기술은 사람의 목숨을 구할 수 있는 위대한 기술이다. 인간과 사회에 대한 문 교수의 따뜻한 시선이 있었기에 오늘의 값진 성과가 가능했다.

그는 “하루에도 몇 번씩 치매 노인을 찾는다는 문자가 온다”며 “치매 노인들을 찾는 데도 이 기술이 활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반려견이나 휴대폰 찾기 등 생활 속 다양한 위치기반 서비스가 가능하다. 여러 가능성과 활용에도 불구하고 그의 첫 번째 목표는 언제나 ‘안전’이다. 그는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인명 구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최우선의 과제다”고 강조했다.

키워드

'한양위키' 키워드 보기 #문희찬 #융합전자공학부 #SDG9
저작권자 © 뉴스H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