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12일 자 「"건전성 외면한 확장재정, 포퓰리즘에 불과"」 기사
11월 12일 자 <한국경제>는 한국조세재정연구원장 이영 경제금융학부 교수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 교수는 “전 정부를 거치면서 재정원칙과 규율이 무너졌다”며 윤석열 정부가 건전 재정으로 기조를 바꾼 것에 대해 높게 평가했다. 다만 현 정부도 여전히 재정이 확장 편성된 상태라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재정 건전성을 훼손하면서도 버틸 수 있는 나라는 달러라는 기축통화를 보유해 국채를 얼마든지 발행할 수 있는 미국이 유일하다”며 “무분별한 확장 재정으로 채무가 쌓이면 서서히 몰락의 길을 걷게 된다”고 했다. 국가채무가 많으면 기준금리를 앞세운 통화정책이 효과를 내지 못해 성장 잠재력도 훼손된다는 설명이다.
이 교수는 정부가 세수펑크에 대응하기 위해 기금을 활용하기로 한 것과 관련해선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부족한 돈을 국채 발행을 통해 메꿨다면 대외 신인도가 훼손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공약인 법인세율 인하에 대비해 국내에서도 현행 24%인 법인세 최고세율을 낮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이 교수는 상속세가 과세대상 확대를 강조했다. 그는 “세계적으로 높은 상속세 최고세율을 현행 50%에서 40%까지 낮춰야 한다”며 “1억원 이하 하위 과세표준 구간도 확대돼야 한다”고 밝혔다. 상속재산 전체를 기준으로 과세하는 현행 유산세 방식에서 상속인이 물려받은 재산을 기준으로 매기는 유산취득세가 서둘러 도입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연관링크
연관링크
한주은 커뮤니케이터
hje1105@hanyang.ac.kr

'한양위키' 키워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