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관리위원회, 협의 중이라 밝혀

서울시가 코로나19 치료 병상이 부족이 심각해지자 서울 내 주요 대학 기숙사를 코로나19 생활치료센터로 확보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감염병의예방및관리에관한법률(감염병예방법) 제49조에 따라 질병관리청장이나 시·도지사 등이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의료기관 병상이나 연수원·숙박시설 등을 동원하는 조치를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어 해당 조치가 취해지고 있다. 

지난 17일 서울시는 서울시립대에 520개 병상 규모의 생활치료센터를 설치했으며, 해당 기숙사 거주생은 22일까지 방을 비우게 된다.

또한 서울시는 21일 한양대를 포함해 건국대, 고려대, 서울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등 7개 대학 기숙사에 생활치료센터 병상을 마련하는 데 협조를 구하는 공문을 보냈다. 연세대는 이날 170여 호실이 있는 기숙사를 생활치료센터로 제공하기로 확정했다. 해당 기숙사 이용자 역시 22일까지 다른 기숙사로 방을 옮겨야 한다.

한양대 기숙사 전환 논의도 진행 중이다. 한양대 감염병관리위원회는 18일 "서울시에서 한양대 생활관 150에서 200실을 생활치료센터로 활용할 수 있는지 협의를 요청했다"며 "현재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아직 구체적으로 정해진 바는 없지만, 서울시와 협의 중에 있다는 사실을 알린 것이다.

<뉴스1> 21일 자 기사에 따르면, 서울에서만 연일 300명 넘게 확진자가 쏟아지는 상황에서 의료 공백을 막기 위한 기숙사 생활치료센터가 필요하다는 공감대는 형성됐지만 피해 보상 방안 등이 구체화하지 않으면서 학생들 사이에서 "의견 수렴 없이 진행되는 생활치료센터 전환에 동의할 수 없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편, 앞서 경기대의 경우, 경기도의 협조 요청에 따라 17일부터 기숙사 2개 동이 생활치료센터를 전환돼 사용 중이다.

키워드

'한양위키' 키워드 보기 #코로나19 #코로나19/문자알림
저작권자 © 뉴스H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