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학의 태동기부터 신유박해까지
호교(護敎)와 순교를 넘어 한국 초기 교회사를 새로 쓴 역작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정민 교수가 신간 『서학, 조선을 관통하다』를 출간했다.
『서학, 조선을 관통하다』는 1770년대 중반에서 1801년까지 초기 천주교회의 역사를 집대성한 신간이다. 치밀한 연구와 고증을 통해 국내 천주교계와 역사학계에 답습되어온 오류를 바로잡았고 논란과 쟁점의 검증을 시도했다.
책을 쓴 이유에 대해 정 교수는 “서학은 조선 사회에 깊은 흔적을 남겼다. 그런데 그것이 너무 과소평가되어온 느낌이다. 지축을 흔든 지진이 지나고 남은 흔적만으로 상황을 본 것은 아닐까. 의도적으로 은폐되고 지워져서 별일 없었던 것처럼 보인 것은 아닐까”라고 말했다.
초기 서학·천주교 관련 자료는 기록 자체만으로는 진실에 다가서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당사자들은 탄압을 피하기 위해 기록에서 내용을 검열·삭제했고 사건 관련자들도 실상을 은폐했다. 자료 기록자들 역시 덫에서 빠져나오기 위해 진실을 왜곡하고 굴절시켰다.
정 교수는 “일부 비판과 비난을 분간하지 못하는 편협한 태도는 곤란하다. 천주교의 시선으로 다산 정약용을 살필 때나, 반대로 ‘만천유고’나 ‘성교요지’가 위작임을 논할 때 들은 어떤 비난들은 저주에 가까운 느낌마저 들었다”라고 토로했다.
한편, 저자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정민 교수는 조선 지성사를 깊이 탐구해온 고전학자이다. 주요 저서로는 『고전, 발견의 기쁨』, 『다산선생 지식경영법』, 『습정』 등이 있다.
관련기사
이해울 커뮤니케이터
ul6258@hanyang.ac.kr

'한양위키' 키워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