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3일 자 「루게릭병 치료 길 열려…조기진단도 중요」 기사
11월 3일 자 <매일경제>는 루게릭병(근위축성측삭경화증, ALS)의 원인 유전자를 표적하는 신약 ‘칼소디’가 등장하며 치료 가능성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됐다고 보도했다. 루게릭병은 운동신경세포가 점차 사멸하면서 전신 마비로 이어지는 퇴행성 신경질환으로, 국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약 36% 수준이다.
김승현 의학과(신경과) 교수는 “칼소디는 질환의 근본 원인을 직접 겨냥한 첫 유전자 치료제”라며 “기존 약물이 신경세포 손상을 단순히 지연시킨 것과 달리, SOD1 단백질 발현을 억제해 진행을 늦추는 혁신적 치료제”라고 설명했다. 또 "조기 진단을 위해 의료진 교육과 대중 인식 개선이 병행돼야 하며, 환자별 증상 차이를 고려한 맞춤형 치료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덧붙여 "환자들이 자신의 삶을 스스로 가치 있게 채워갈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며 의료진의 역할을 강조했다.
관련기사
- 김승현 교수 연구팀, 루게릭병 새로운 발병 경로 규명하다..NEK1 유전자 변이 주목
- 김승현 교수 연구팀, NEK1 유전자 변이, 루게릭병(ALS)에서 섬모 손상과 신경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새로운 병리기전 규명
- 김승현 교수, ‘급성뇌졸중 인증의 제도 도입’ 관련 공청회 참석
- 김승현 교수, 2020 보건의료기술진흥 유공자 정부포상 '보건복지부장관 표창' 수상
- 한양대 김승현 교수팀, 퇴행성 신경계질환 원인 유전자의 발병 기전 규명
- [국민일보] 배근형 교수, 칼럼 '팔·다리에 혹… 달걀만큼 커지고 살 빠졌다면 암 의심' 기고
- [중앙일보] 이상표 교수, 송년회 시즌 위 건강 관리법에 관해 코멘트
연관링크
연관링크
김비랑 커뮤니케이터
kwithrain@hanyang.ac.kr

'한양위키' 키워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