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8일자 「윤석열 '허점 공략' 못 막아낸 공수처...전면 재설계 필요」 기사
6월 18일자 <한겨레>는 공수처의 허점과 기능 강화 관련 의견에 대해 보도했다. 공수처(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는 검찰의 기소독점주의를 깰 수 있는 검찰개혁의 상징으로 꼽힌다. 그러나 공수처는 대통령, 대법관, 헌법재판관, 국회의원, 장관 등 고위 공무원 범죄를 수사할 수는 있지만 판검사, 경무관 이상 경찰관만 기소할 수 있다. 수사만 가능하고 기소는 검찰이 해야 하는 구체적인 절차에 대한 명확한 규정도 없다. 이런 법률적 미비가 극명하게 드러난 사례가 12ㆍ3 내란 수사다.
대통령은 공수처가 수사는 가능하나 기소할 수 없는 대상이어서 공수처는 수사 뒤 사건을 검찰에 넘겨야 한다. 윤 전 대통령은 이런 법률적 미비를 파고들어 공수처의 수사 자체가 불법이라고 저항했다.
공수처 강화에 대해 박찬운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수사ㆍ기소권을 동시에 주는 방식으로 정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 [한겨레] 박찬운 교수, 검찰 직접수사권 폐지 관해 코멘트
- [MBC뉴스] 박찬운 교수, 이재명 후보의 검찰 개혁에 관해 코멘트
- [경향신문] 박찬운 교수, 변협의 신규 변호사 수 감축 요구에 대한 비판 관해 코멘트
- [MBC] 박찬운 교수, '헌재 선고일 기한'에 관해 코멘트
- [한겨레] 박찬운 교수, 법조계의 윤 대통령 구속 취소 비판 관해 코멘트
- [한겨레] 박찬운 교수, '경찰 수사권 남용 방지'에 관해 코멘트
- [머니투데이] 박찬운 교수, '경찰 불송치 사건 재수사 비율'에 관해 코멘트
- [한국경제] 박찬운 교수, 중대범죄수사청 논란에 대해 코멘트
- [한국일보] 박찬운 교수, 보완수사권 논쟁에 관해 코멘트
- [MBC] 박찬운 교수, 중수청의 기존 검찰 수사 역량 보존 관해 코멘트
- [국민일보] 박찬운 교수, '전건 송치' 부활 논쟁에 관해 코멘트
- 박찬운 교수, 국방부 내란극복 특별자문위 '군 내 사망사고 대책' 분과 분과장 맡아
연관링크
임소빈 커뮤니케이터
lsb031128@hanyang.ac.kr

'한양위키' 키워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