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7일자 「‘6·27 대출규제’ 열흘… 거래-주담대 반토막」 기사
7월 7일자 <동아일보>는 주택담보대출 규제 시행의 영향에 대해 보도했다. 소득과 상관없이 수도권 내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상한선을 6억 원으로 제한한 지 1주일 만에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60% 이상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강도 대출 규제로 대출이 막히거나 집값 하락을 우려한 매수자가 계약금 손실을 감수하고 계약을 취소한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대통령의 이번 대출 규제로 서울 부동산 시장 분위기는 진정된 것 으로 보인다. 하지만 주택 시장을 본질적으로 안정시키려면 효과적인 공급 대책이 병행돼야 한다 는 주장이 나온다. 이창무 도시공학과 교수는 "공급 문제가 해결된 상황이 아니라 언제든 풍선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며 "수도권 고밀 복합개발 등 공급 대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 [SBS Biz] 이창무 교수, 주택담보대출 한도 제한에 관해 코멘트
- [SBS] 이창무 교수, 주택담보대출 한도 제한 효과 관해 코멘트
- [한국경제] 이창무 교수, 국토교통부의 추가 주택 공급 방안 보고 관해 코멘트
- [매일경제] 이창무 교수, 칼럼 ‘극약처방의 후폭풍’ 기고
- [SBS NEWS] 이창무 교수, 수도권 아파트 매수세에 관해 코멘트
- [MBC] 김흥순 교수, 저소득층 온열질환 관해 코멘트
- [동아일보] 이창무 교수, 3기 신도시의 주택 공급 현황 관해 코멘트
- [한국경제] 이창무 교수, '서울시 재건축 기간 단축'에 관해 코멘트
- [SBS Biz] 이창무 교수, '주택 대출 규제'에 관해 코멘트
- [한국경제] 이창무 교수, '공공주택 개발 사업의 한계'에 관해 코멘트
연관링크
임소빈 커뮤니케이터
lsb031128@hanyang.ac.kr

'한양위키' 키워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