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18일 자 「왔다 하면 '1시간 100㎜'… 기상이변이 일상 됐다」 기사
8월 18일 자 <조선일보>는 올여름 기상이변에 대해 보도했다. 올여름에는 ‘섭씨 40도’ 한증막 더위와 ‘200년 빈도 비’ 물 폭탄이 번갈아 발생했다. 과거 한 달여 장마를 겪은 후 폭염이 찾아오던 여름 패턴은 뒤죽박죽되었다.
기록적 호우가 반복됐으나 올여름 강수량 자체가 평년(1991~2020·30년 평균) 대비 많았던 것은 아니다. 비가 오랜 시간 넓은 지역에 고루 내리지 않고, 단시간 좁은 지역에 퍼부었다는 것이다. 이럴 경우 땅과 하천이 감당할 수 있는 용량 이상으로 비가 내리며 홍수가 잦아진다.
예상욱 ERICA 해양융합공학과 교수는 “현시점 인프라 임계값을 다시 조사해 과감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시간당 100㎜ 이상 강수를 견디도록 인프라를 확대 중인 서울에 이미 그 이상의 비가 내렸기에 시설 확충에 강수 상황을 바로 반영해야 한다는 게 예 교수의 의견이다.
관련기사
- [연합뉴스TV] 예상욱 교수, 폭염과 국지성 집중호우 관해 코멘트
- [조선일보] 예상욱 교수, 폭염 전망에 관해 코멘트
- [MBC] 예상욱 교수, '아열대 고기압 현상'에 관해 코멘트
- [중앙일보] 김태윤 교수, 지자체 폭염 대응 정책 관해 코멘트
- [한겨레] 예상욱 교수, '극한호우' 발생 추이와 원인 관해 코멘트
- [연합뉴스] 예상욱 교수, ‘장마패턴’에 관해 코멘트
- [세계일보] 예상욱 교수, 칼럼 '기후 재난, 강릉에서 그칠까' 기고
- [MBC] 예상욱 교수, 강릉 지역 가뭄 원인 관해 코멘트
- [국민일보] 예상욱 교수, 올해 한반도에 태풍이 오지 않은 이유와 이상기후 현상에 관해 코멘트
- [국민일보] 예상욱 교수, 중국발 미세먼지 유입 감소와 대기질 개선에 관해 코멘트
연관링크
진서연 커뮤니케이터
jinnnzsyhz@hanyang.ac.kr

'한양위키' 키워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