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20일자 「시간당 80㎜ 극한호우, 10년 새 4배 폭증」 기사
7월 20일자 <한겨레>는 '극한호우' 발생 추이와 원인에 대해 보도했다. 대규모 재해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극한호우'가 해마다 반복되고, 그 정도도 심해지는 추세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기후변화로 지구 기온이 높아진 데 따라 발생하는 대기 불안정이 집중호우 발생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예상욱 ERICA 해양융합공학과 교수는 “지난 몇년 사이 북극 빙하가 녹으면서 대기 흐름이 변화해 여름철 고위도 지역의 차가운 공기가 남쪽으로 더 내려오는 경향이 반복되고 있다”고 짚었다.
한반도 주변 바다는 전세계에서 가장 온도가 높게 상승하고 있다. 예 교수는 “한반도 주변 해역의 온도가 높아진 결과 강한 구름 떼가 만들어지고, 이것이 북쪽에서 내려온 차가운 공기와 만나는 경향이 반복될 경우 폭우 강도와 빈도수는 증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KBS] 예상욱 교수, 올여름 우리나라의 폭염 원인 관해 코멘트
- [조선일보] 예상욱 교수, 폭염 전망에 관해 코멘트
- [MBC] 예상욱 교수, '아열대 고기압 현상'에 관해 코멘트
- [한겨레] 예상욱 교수, 장마 종료 후 폭염에 관해 코멘트
- [KBS] 예상욱 교수, '올여름 폭염 가능성'에 관해 코멘트
- [한겨레] 예상욱 교수, '서울 지역 폭염'에 관해 코멘트
- [연합뉴스TV] 예상욱 교수, 폭염과 국지성 집중호우 관해 코멘트
- [머니투데이] 예상욱 교수, 극단적 기후 변화에 대해 코멘트
- [조선일보] 예상욱 교수, 장마 피해 대책에 관해 코멘트
- [세계일보] 예상욱 교수, 칼럼 '기후 재난, 강릉에서 그칠까' 기고
- [국민일보] 예상욱 교수, 중국발 미세먼지 유입 감소와 대기질 개선에 관해 코멘트
연관링크
임소빈 커뮤니케이터
lsb031128@hanyang.ac.kr

'한양위키' 키워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