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4일 자 「'KAIST 최연소 임용' 석학도 中 갔다…韓두뇌 모으는 '비장의 전략'」 기사
9월 24일 자 <중앙일보>는 중국이 과감한 보상과 지원으로 세계 우수 인재를 적극 유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칭화대는 뛰어난 연구자에게 연봉 2억 원, 정착금 7억 원, 연구비 40억 원을 제공하고, 베이징대와 시후대는 인공지능(AI)·컴퓨터 분야 인재에게 최대 연봉 4억 원을 약속한다. 실적만 있다면 정년을 70세 이상까지 보장하는 등 파격적 조건도 내세운다. 최근 미국의 유학생 비자 조건 강화까지 겹치며 ‘중국행’ 러시가 이어지고, 한국 석학들의 이직 사례도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백서인 ERICA 글로벌문화통상학부 교수는 “한국 대학이 세계적 인재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으려면 ▶연봉과 인센티브 ▶행정 잡무 최소화 등 연구환경 ▶첨단 연구 인프라 ▶주거 안정 등 네 가지를 과감히 개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관련기사
- [중앙일보] 백서인 교수 칼럼, ‘중국 인공지능 반도체 초고속 사업화의 숨은 공신들’ 기고
- “공대에 미친 중국, 의대에 미친 한국”… 백서인 ERICA 글로벌문화통상학부 교수 인터뷰
- [SBS Biz] 백서인 교수, '규제 완화 후 중국 기업 행보'에 관해 코멘트
- [중앙일보] 백서인 교수, 칼럼 '중국, 불을 끈 공장과 불이 꺼지지 않는 연구소' 기고
- 박재근ㆍ백서인 교수, '중국 AI 혁명 현장을 가다' 집중 토론회 참석
- [중앙일보] 백서인 교수, '중국 대학교 교육 자율성'에 관해 코멘트
- [중앙일보] 백서인 교수, 칼럼 '천재보다 시스템, 중국 과학굴기의 진짜 동력' 기고
- [한국경제] 백서인 교수, 첨단산업 경쟁 전략 관련 코멘트
- [중앙일보] 백서인 교수, 칼럼 '중국은 어떻게 인공지능 천재들을 키워내는가' 기고
- [한국일보] 백서인 교수, 칼럼 '미국과 중국, 폐쇄와 개방…한국의 AI 생태계 선택은?' 기고
연관링크
이성민 커뮤니케이터
scarlet0624@hanyang.ac.kr

'한양위키' 키워드 보기